글로벌 시장 대비 경쟁역 낮아지고 있고 동일 기능이 아닌 라이선스별 규제 주장하고 있습니다.
기존 금융 기관이나 글로벌 시 장과 비교하면 국내 핀테크는 아직 시작 단계에 불과합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하기 위해서는 아직까지 규제보다는 육성이 필요하 때라 는 의견이 분분 합니다.
한국 핀 태그 산업협회는 카카오페이 대표가 지난 24일 핀 산협이 개최한 기자 간담회에서 한 말입니다. 핀테크 규제 강화에 나고 이 쓴 금융당국에 아직은 규제를 앞세운 채찍질보다 육성정책이 더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한 것입니다.
최근 금융윈원회와 금융감독원의 수장이 바뀐 후 핀테크와 전통 금유 회사 사이 균형추가 금융회사 쪽으로 기울면서 핀 테크 규제 강황에 따른 산업 위축이 우려되고 있어서입니다.
실제 지난 9월 금융 소비자보호법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핀테크 기업들이 제공하던 서비스들이 일부 제한되고 있습니다.
1. 핀테크 업계 의견
이로 인해 중소핀테크 기업들이 위기에 내몰렸고 새로운 플레이어의 진입도 제한되는 상황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여기서 규제를 더욱 강화할 경우 국내 핀테크 산업 발전이 후퇴할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시각입니다.
핀테크 기업들의 혁신 서비스로 전무적인 금융서비스 문턱이 낮아졌고 국민들의 금융 생활이 쉽고 편리해져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됐습니다.
하지만 아직 국내 금융기관이나 글로벌 핀테크 기업들과 비교하면 갈 길이 멀다고 카카오 대표가 말하였습니다.
국내 금융기관과 핀테크의 대립 구도가 자꾸 형성되는데 기업당 종사자수, 이용금액, 영업이익 등 규모만 보면 대림 구조가 될 수 없다고 하고 해외와 비교하면 한국은 이제 칵 시작하는 수준이라 말하였습니다.
실제 전세게 핀테크 유니콘 94개 가운데 국내 기업은 단 1곳에 불과합니다.
또한 국내 전체 핀테크 종사자 수는 글로벌 핀테크 기업 1개사 수준입니다. 특히 올해 주요국 핀테크 산업발전 순의에서 우리나라는 지난해 18위에서 올해 26위로 8계단 내려왔습니다.
국내 핀티크 기업은 규제 불확실성이 커 혁신적인 아이디어 출현이 쉽지 않고 배타적이고 폐쇄적인 금융 관행들이 혁신적인 금융서비스 사업에 장벽을 만들고 있으며 IT인력의 부족과 핀테크 관련 투자정보가 부족해 스타트업들의 성장(스케일업)이 지체되는 것도 문제라 지적했습니다.
해외 핀테크들이 유니콘을 넘어 드래건으로 성장해 나가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아직은 규제보다 육성에 집중해야 할 때이고 금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진입이 쉬여야 하고 그 안에서 경쟁이 자유로워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소비자 보호는 중요한 고제이지만 단순히 금유 피해를 막는 것만이 소비자보호는 아니라며 공급자 중심의 금유를 소비자 중심으로 바꾸야 하고 소비자가 필요로 하고 합리적인 상품을 찾도록 돕는 것, 즉 소비자 선택권을 넓히는 것니 역시 소비자 보호의 일환으로 (당국이) 관점을 바꿔야 한다고 카카오 페이 측에 의견입니다.
2. 동일 기능 동일규제.. 핀테크 잦대 맞지 않았다..
금융당국이 핀테크 규제 잣대로 내세운 동일 기능 동일규제와 관련해서도 반대하는 목소가 나왔습니다.
핀테크 기업들이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효용이 금융회사와 같다고 해서 기능이 같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게 핀테크 업계의 주장입니다.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으로 촉발된 동일규제 이슈에 대해서는 동일 라이선스 동일규제로 접근해야 한다고 하고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효용이 금융사랑 같다고 하지만 동일한 수단으로 제공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당연히 다른 규제가 적용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라이선스 특성에 따라 수익의 구조나 보장받는 혜택이 다른 상황에서 단순히 표면의 기능만을 보고 동일한 규제를 적용하자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지적입니다.
당국의 동일규제 원칙에는 동의한다면서도 핀테크 기업들이 제공하는 비대면 온라인 서비스들이 과연 대면에서 판매하고 있는 금융서비스와 동일 기능에 있는 것인지는 의문으로 이 부분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합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
-망 분리 등 핀테크 관련 현안들도 언급되었습니다.
(망분리 규제로 모바일 개발 시에 필수적인 오픈소스나 라이브러리 사용이 제한대 개발자들이 핀테크 기업을 꺼려하고 있으며 핀테크 업권뿐만 아니라 금융권 전체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서는 개발 단계에서만이라도 망분리를 예외로 하는 등 합리화가 필요)
해외의 경우 망 분리를 하지 않고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다양한 보안 기술을 발전시켜 나가는데 국내는 망분리로 개발자들이 불필요한 피로도가 쌓이고 이를 견디지 못해 핀테크 업계를 떠나는 문제가 지속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한편 핀테크 업계 관계자들과 금융위원장과 만나 논의를 이어갈 전망이라 합니다.
동일기준 동일규제, 전금법 개정, 금융 플랫폼 규제는 핀테크 업계의 주요 어젠다로 이에 대한 바람직한 규제 방향과 애로사항을 당국에 전달할 것이고 금융위에서도 디지털 금융발전을 중단 없이 계속할 거라 밝힌 만큼 자유롭게 이야기될 것으로 판단하며 판신협은 국내에서는 불가능하지만 해외에서 활성화된 서비스를 규제당국과 협의해 국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노력도 기울일 방침이라 합니다.
'주식시장 관련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시뉴스] 오미크론발 증시 패닉상태/백신주로 관심이 쏠리고 있다. (0) | 2021.12.01 |
---|---|
현대 모비스- 자율주행에 꽂힌 현대모비스의 행보는? (0) | 2021.11.30 |
하나은행 /핀다/현대차/기아차-커넥티드 카 금융과 손잡다. (0) | 2021.11.27 |
코스닥IPO슈퍼워크-희비가교차가 결과 예견되다. (0) | 2021.11.14 |
크래프톤- 올매출 2조원대 예고되고있다. (0) | 2021.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