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카카오-NFT시장에 나란히 정식 서비스 출시에 돌입한다는 소식입니다.
블록체인 기술 역량강화 결정판 게임 등 연계로 유입을 늘리 전망이라 하고 있습니다.
인터넷 라이벌 네이버와 카카오가 요증 핫한 NFT(대체 불가능 토큰) 마켓을 선점하기 위해 맞붙었습니다.

※NFT란?
디지털 자산에 븥는 일종의 진품 확인서라고 설명이 가능할 것입니다.
그림이나 영상 등의 디지털 파일에 복제가 불가능한 암호를 블록체인 기술로 붙임으로써 희소성을 갖게 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최근 거래량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각각 블록체인 자회사를 통해 NFT를 사고팔 수 있는 마켓 출시 계획을 잇달아 발표했습니다.
그동안 두회사는 자체 코인을 나란히 발행한 데다 한국은행의 디지털 법정화폐 (CBDC) 모의실험 참여로 기술력을 과시하면서 꾸준히 경쟁을 벌여왔습니다. 두회사의 새로운 경쟁 무대로 NFT 마켓이 떠오르고 있습니다.

1. 네이버 라인, 일본에서 NFT 마켓 내년에 선보일 예정
네이버는 일본에서 라인 NFT라는 이름의 마켓을 내년 상반기에 선보일 예정입니다.
네이버 자회사 라인이 운영하는 LVC는 지난 15일 이 같은 내용의 운영 계획을 밝혔습니다. 그동안 라인은 시업 버전으로 NFT마켓을 제공해 왔습니다. 내년에 선보일 정식판에서 NFT를 라인 메신저나 자체 가상자산 지급 (비트 맥스 월렛)에 보관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는 2018년 부터 가상자산 링크를 발행하면서 블록체인 사업에 시종을 걸었습니다. 링크는 쇼핑 등 라인의 서비스를 이용한 이들에게 적립금처럼 보상하는 가상자산입니다. 올 8월엔 국내 거래소 빗썸에 상장했습니다.
링크는 지난해 일본 금융청이 관리하는 암호화폐 거래소 협회의 코인 화이트리스트에 올랐습니다. 일본에선 코인 화이트리스트에 오는 가상자산만 일본 개 래소에 상장할 수 있습니다.
링크의 강점은 일본에서 쓰일 곳이 많다는 것과 리인이 야후 재팬과 경영 통합으로 생태계를 넓혔기 때문입니다.
라인 메신저와 야후 재팬의 지난해 기준 월 이용자는 각각 8400만 명과 5000만 명입니다.
올해 7월 네이버와 카카오는 가상자산 서비스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 안행의 CBDC 모의실험 사업자에 지원했습니다.
사업자로 그라운드 X가 선정되었다는 소식입니다.

2. 카카오, 메신져 활용 마켓 정식 서비스 내용
카카오도 NFT 마켓을 열기로 했다고 합니다. 카카오의 블록체인 계열사 그라운드 X 17일 클립 드롭스 란 마켓을 정식 서비스한다고 합니다.
올 7월 공개한 클립 드로스는 그동안 시험버전으로 운영됐습니다.
이곳에서는 그라운드 X의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에서 발행한 NFT를 사고팔 수 있습니다. 구매한 NFT를 카카오톡 메신저에 탐재한 가상자산 지갑 클립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 역시 네이버처럼 블록체인 생태계를 구축하는데 역량을 모아 왔습니다.
블록체인 플랫폼은 노드(서버)로 참여하는 개인 또는 단체에 의해 운영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노드 운영자 들은 재단이나 협회를 꾸려 블록체인 플랫폼을 경영하기도 합니다.
2-1. 클레이트
클레이트 거버넌스 카운슬이라는 협회가 운영합니다.
해당 협회엔 카카오뿐만 아니라 LG전자, SK네트웍스, 신한은행, 넷 마블, 신한은행, 아모레퍼시픽 등 다양한 기업이 회원으로 참여했습니다.
회원 기업이 기존에 제공하던 서비스들이 카카오의 블록체인 사업과 연계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가령 아모레퍼시픽의 경우 화장품 보증서를 카카오의 블록체인을 통해 NFT형태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중국이나 중고 시장에서 가짜 화장품을 판별할 수 있습니다. 가상자산 클레이로 상품을 구매하는 서비스도 가능하다고 여겨지고 있습니다. 현제 클레이는 빗썸과 코인원 등 국내 거래소에 상장된 상태입니다.
3. 이더리움 지원 여부가 변수가 될 것이다.
네이버와 카카오의 NFT마켓 경쟁은 이더리움 지원 여부에 따라 성패가 엇갈리 전망입니다.
세계 첫 NFT 서비스로 꼽히는 크로토 펑크 등 대부분 서비스가 이더리움 중심 이기 때문입니다. 네이버와 카카오가 서비스하는 마켓 및 가상자산 지갑은 자체 운영 플랫폼을 통해 발행한 NFT만 지원합니다.
현재로선 이더리움을 비롯한 다른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만들어진 NFT를 거래하거나 저장할 수 없습니다.
두거 래소에서 구매한 NFT를 다른 거래소를 통해 판매하거나, 다른 기업의 지갑에 보관하기도 어렵습니다.
마찬가지로 자체 플랫폼에서 만든 것만 취급하기 때문입니다.
이용자 이탈을 막는데 도움이 되지만 확장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갖고 있습니다.
그라운드 X와 라인은 NFT 마켓과 지갑에서 이더리움을 지우너 할 계획이 있냐는 질문에 현제로서는 없습니다.
이로 인해 네이버와 카카오가 메타버스 및 게임과 연계한 서비스에 주력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옵니다.
이용자 유입 효과가 만만치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실젤 라인은 일본에서 네이버 Z의 메타버스 스비스 '제페토'에서 사용할 수 있는 NFT 아이템을 지난달 11월 발행하였습니다.
카카오는 그라운드 X의 파트너 업체들과 협업을 기대하고 있으며 게임을 징검다리로 NFT 생태계를 확대하는 것입니다.
특히 클레이트 거버넌스 카운슬의 회원사인 펄어비스, 넷마블과 협력할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카카오 게임 계열사인 카카오 게이즈와 협업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이색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가전제품을 이한 자동차 - 거실로 다가오다. (0) | 2022.02.03 |
|---|---|
| 중국 전기차- 폴스타 가 국내 전기차 도전장을 내다. (0) | 2021.12.21 |
| [MZ세대]플렛폼- 대규모 투자를 하는 은행들이야기. (0) | 2021.12.13 |
| 아이오닉 5 - 로보 택시 내년에 서울을 달린다는 소식을 아시나요!! (0) | 2021.11.30 |
| [핫이슈] 메타버스- 커지는 매타버스 /법과제도는 속수무책입니다. (0) | 2021.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