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에서 알코올 빼면 맛이 달라지는 이유? 에 대해 궁금하셨을 것입니다.
이 궁금증에 대해 알아보고 무알코올 맥주 제조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발효'와 '발효' 구분은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생활하다 이런 궁금증이 생기지는 않으셨나요?
알코올에는 맛이 있을까?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맛이 없습니다.
알코올은 무색, 무취, 무미 의 액체입니다. 우리의 미각과 후각을 자극하지 않습니다. 술에 들어있는 아코로 성분을 느끼기는 어렵다는 말입니다. 물로 알코올 도수가 높은 술을 마시면 빨리 취한다는 사실은 우리 몸이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술음 마시면 알코올의 냄새를 맡거나 맛을 느껴본 적은 없었습니다.
그런데 문득 생각이 나는것이 알코 옥에도 맛이 있는지 궁금했습니다. 바로 '무알코올 맥주'를 마시면서입니다.
맥주라고 불리기는 하지만 무알코온 맥주는 술을 마신다는 니키를 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무알코올 맥주는 맥주에서 알코올 빼거나 극소량만 남긴 것을 말하는데 무색, 무취, 무미의 알코올을 뺐다고 해서 맛이 크게 달라지지는 않을 것 같았는데 그게 아닌 것은 저뿐만 아니라 여러분들도 느껴 보셨을 것입니다.
일반 맥주와는 근본적을 다른 맛이라는 생각이 들것입니다.. 단순히 취하지 않아서가 아닙니다. 아무 맛도 나지 ㅇ낳는 알코올만 쏙 뱄을 뿐인데 외 이렇게 다른 존재가 되는 것인지 궁금해지기 시작했습니다. 혹시 우리가 몰랐던 알코올의 맛이 따로 있는 것인 아니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무알코올 맥주를 만드는 업체들에게 확인한 결과 무알코올 맥주는 외 일반 맥주와 맛이 다른지 말입니다.
업체 관계자들은
일반 맥주는 보리를 가공해 '맥아'를 발해ㅛ해 만드는 술입니다. 여기에 홉과 효모를 더해 만드는 게 일반적입니다.
반면 무알골 맥주를 만드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고 합니다.
비발효법과 발효법이라 합니다.
1. 비발효 제품
비발효 제품은 하이트 진로의 하이트 제로 , 롯데칠성음료의 '클라우드 클라우드 제로 대표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두 제품음 발화 과정멋이 맥아 진액에 돕고 향을 첨가하는 방식으로 제조합니다. 맥주를 만드는데 필요한 원료가 들어는 건 맞지만 저조 법은 전혀 다른 것입니다.
하이트 관계자는 - 탄산음료 제조 공정이라 보면 된다고 설명하고 있으며 사실상 맥주 맛 음료인 것입니다.
그래서 이런 제품들은 애초에 맛이 다를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물로 각 업체가 지소 개 제조공법을 발전시키면서 맥주 맛과 점점 비슷하게 만들어 가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2. 발효제품
국내 브랜드 중에서는 오비 맥주 '카스 제로' 가 발효법으로 만든 무알콜 맥주입니다.
일반 맥주와 동일한 월료를 써서 발효와 숙성과정을 거친 뒤 마지막 단 게에서 알코만 쏙 빼는 방식입니다.
오비 맥주는 이를 스마트 분리 공법이라 하고 있으며 이런 방식으로 만드는 제품은 정확하게 무 알코이 아니라 비알코올 제품으로 분류됩니다.
알코올은 빼내기는 하지만 전부 없애는 건 불가능해 소량의 알코올이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카스 제로의 경우 0.05%미만의 알코올이 있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앞서 언급한 비발효 무알코올 제품들에는 뚜렷한 장점이 있습니다.
임산부 등 술은 전혀 마시루 없는 분들에게는 '비알코올'보다는 무알코올 제품이 좋기 때문입니다.
발효 방식은 아무래도 일반 맥주와 같은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비발효 방식보다 맥 수특유의 품 미가 잘 구현되는 것으로 보이고 해외 브랜드 중에는 하이네켄, 칭다오 논 알릭 제품이 이러 공정으로 만들어집니다.
물론 비알코올 제품 역시 일반 맥주와 구별이 안돼 정도로 맛이 똑같지는 않습니다.
오비맥주 관계자는 알코올도 맥주 맛을 구성하는 요소중 하나이기 때문에 알코올을 배면 일반 맥주와는 맛이 달라지는 부분이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부연 설명으로 알코올음 분리한 뒤 달라진 맛을 보완하기 위해서 비타민C 등 가타 첨가물을 넣어 맥주 맛을 구현한다고 합니다.
3. 제조업체 들의 설명 종합
알코올 자체에는 맛이 없을지는 몰라도, 알코올 맛을 내는 주요 요소인 것은 맞다는 설명입니다.
발효 맥주에는 수많은 성분이 있는데 그중 알코올 역시 맥주 맛을 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우니는 술릉 마시면 이게 음료가 아니라 '술'아라느것 바로 알 수 있습니다. 향과 밧을 표현하기는 어렵지만 우리의 혀는 아로 올의 존 지를 알고 있는 것이죠. 그래서 알코올에도 맛이 있는 거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4. 비슷한 사례
바로 디카페인 커피입니다.
디카페인 커피는 카페인을 제거한 원두로 만들어집니다. 커피 제조사들은 그 원들 구매해 일반 커피와 똑같은 방식으로 제품을 만듭니다. 그런데 디카페인 커피를 마셔 보면 뭔가 맛이 다르다.라는 느낌을 듭니다. 카페인은 무색, 무취의 화합물인데 왜 다를까요 아마도 우리 혀는 카페인 존도 알고 있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