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시장 정보

[엑시인피니티]-NFT 대장주 '엑시인피니티란? '무엇인지 알아보자.

주식으로부자되기 2022. 2. 22. 21:01
728x90
반응형

포켓몬 게임에 영감을 받은 게임이 NFT와 함께 주목받고 돈 버는 게임 대표, 동남아선 생계 수단으로 게임 내 재화가 늘어나면 가격 하락 유지가 관건이다.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자. 

엑스인피니티(AXS)개요 이미지 자료는 코인마켓

대부분 코인 시세가 반짝 상승했던 이달 초에 유고 가파른 상승세로 투자자의 눈길을 끌었던 코인이 있었으니 바로 엑시 인피니티(AXS)였습니다. 지난 1일 업비트에서 6만 5000원대이던 엑시 인피니티 시세는 7일 한때 9만 원에 육박한 수준으로 껑충 올랐습니다.  당시 코인들 가운데 가장 놓은 급등세를 기록했습니다. 

 

엑스 인피니티가 크게 주목을 받은 것은 발행처인 스카이 마비스의 보상 정책 때문이란 분석입니다. 즉 연관된 또 다른 코인인 SLP(엑시 인피니티 게임 내 통화)의 유통량을 줄이기로 한 것이 상승세에 불을 붙였다는 것입니다. 올해 초만 해도 SLP의 유통량이 급격이 늘어나면서 엑시 인피니티 시세가 덜 달아 낮아졌습니다. 새로운 보상 정책으로 반등을 꾀하는 모습입니다. 좀 더 자세한 설명, 바로 이어집니다. 

 

1. 1세대 돈 버는 게임 이 있다. 

 

AXIE인피니티 게임 화면 이미지 

엑스 인피니티는 베트남 게임 기업 스카이 마비스가 개발한 동명의 블록체인 게임 '엑스 인피니티(2018년 출시)를 기반으로 합니다. 코인 중에서도 꽤 연식이 있습니다. 대체불가능 토큰(NFT) 시장의 시초 격 크립토 펑커(CryptoPunk)가 2017년에 선보인 이후 1년 후에 엑시 인피니티가 등장했습니다. 이더리움 1세대 P2E(Play to Earm) 게임이라 불리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 게임은 만화 포켓몬스터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이용자는 엑시 라블리는 몬스터를 키워 다른 이용자와 싸우거나, 엑시를 교배해 희귀한 엑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를 다시 NFT로 변환애 거래소에 내다 팔 수 있습니다. 

 

NFT는 아시다시피 그림이나 동영상, 게임 캐릭터 등을 저장한 블록체인 토큰을 말합니다. 명화가 그려진 엽서처럼 수집품으로서 가치가 매겨지면 고가에 매매되기도 합니다. 

 

엑시 인피니티는 게임을 하면서 NFT뿐만 아니라 코인도 억을 수 있도록 설계됐습니다. 

도량 치고 가재 잡고, 꿩 목고 알 먹는 일거양득 게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선 다른 이용자와 싸워 이기거나 미션 등을 완수하면 보상으로 SLP란 게임머니를 받습니다. SLP는 코인이기도 합니다.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 등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이용자는 스카이 마시스가 발행한 또 다른 코인인 AXS로도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AXS는 스카이 마비스가 블록체인 플랫폼을 운영하기 위해 만든 코인입니다. 아이템 구매 분만 아니라 일정 기간 코인을 예치하고 이자를 돌려받는 스테이 킹에도 쓸 수 있습니다. 

 

현재 AXS는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입니다. 업비트와 빗썸, 코인원, 코빗 등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잠깐 살펴보면 SLP와 AXS의 관계가 헷갈리거나 도통 뭔 말인지 모르겠다는 분들을 위해 예를 들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요즘 국내 게임 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게임입니다. 위메이드의 대표작 미르 4에서 게임 내 재화인 흑철과 미르 4를 운영한 위메이드이의 블록체인 생태계 관리를 위해 만든 코인 위 믹스의 관계를 생각해보면 이해가 될 것입니다. 

 

즉 흑철=SLP, 위 믹스=AXS라고 보면 되는 것입니다. SLP란 코인은 게임 내에서 캐릭터 육성에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인 거래소에 팔아 수익을 낼 수도 있습니다. 

 

ASX는 위 믹스처럼 블록체인 생태계를 운영하기 위해 만든 코인입니다. 블록체인 플랫폼 관리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게임의 재화를 사고팔 때 기축통화처럼 쓸 수도 있습니다. 

2. 높은 수익으로 동남아 등 인기 있다. 

엑스 인피니티는 다양한 수익 보델을 구축하면서 출시 직후부터 블록체인 업계의 관심을 끌어왔습니다. 

지난해 NFT광풍을 계기로 이용자가 급격히 늘었습니다. 작년 7월 기준 80만 명에 그쳤던 이용자는 넉 달 이후 11월 200만 명으로 2배 이상 늘었습니다. 

 

무엇보다 게임으로 돈을 벌 수 있다는 콘셉트가 먹히면서 P23분야를 대표하는 게임으로 발돋움했습니다. 동남 애니상 이부 지경에선 생계를 위해 이게임을 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했습니다. 이용 자득은 지난해 말 기준 매일 미션을 완수한다면 한 달 동안 약 1200달러(한화 140만 원)를 거 뒤 들일 수 있었다고 합니다. 이는 일부 동남아시아 국가의 평균 월급을 웃도는 수준입니다. 

 

게임이 유명해지면서 외부 투자가 이어졌으며 스카이 마비스는 지난 5월 해 시드와 코인 게코 벤처스 등으로부터 750만 달러에 달하는 투자를 받았습니다. 이에 삼성 넥스트와 FTX알 셀 등으로부터 1억 5200만 달러 규모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3. 인플레션 등 생태계 위협 계속되다. 

엑시 인피니티에 놓인 과제가 만만치 않습니다. 경제 생태계를 어떻게 잘 유지하느냔가 관건입니다. 즉 이용자들이 게임을 하면서 얻는 SLP의 물량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자연스럽게 코인 시세가 떨어 집ㄴ디ㅏ. 이는 코인에 대한 매력을 떨어뜨리게 해 이용자 이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엑시 인피니티의 큰 그림인 프로젝트가 원활히 돌아가지 않아 AXS가격 하락을 부추길 수 있습니다.

 

실제로 엑시 인피니티는 그동안 SLP인플레션으로 경재 생태계가 붕괴될 것이라는 우려를 받아왔습니다. 게임을 하면서 번 SLP를 파는 이들이 늘 아나자, SLP 가격이 떨어져 버린 것입니다. 가상자산 가격 정보 서비스 코인마켓 캡에 따르면 역대 최고가였던 지난해 중순 개당 0.36달러대에서 올해 1월 0.01달러대로 급격하게 낮아졌습니다. 

 

SLP가격이 흔들리면 게임 이용자들의 이탈을 불러일으켜 AXS가격도 덜 달아 떨어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11월 개다 160달러로 최고가를 기록한 AXS가격은 올해 1월 개당 50달러대로 급락했습니다. 

 

SLP 유통량이 지나치게 많아져 가격이 하락했지만, 서두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최근 보상정책을 새로 내놓으면서 AXS의 반등을 꾀하고 잇습니다. 즉 SLP 유통량을 절반 가량으로 줄이고 게임 내에서 SLP 지급 기준을 강화하는 등의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이에 힘입어 한동안 하락세를 이어간 AXS와 SLP는 상승세로 방향을 트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엑시 인피니티가 게임 내 코인 운영을 얼마나 적절히 하면서 이용자를 불러 모을지가 관건인 것입니다. 향후 반등 추세를 계속 지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