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밀크시슬이란?

주식으로부자되기 2021. 8. 25. 19:45
728x90
반응형

밀크시슬이란?썸네일

안녕하세요. 오늘은 간 건강에 좋은 밀크시슬에 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내용이 많아서 시리즈로 작성되오니 참고하시고 많이 봐주세요.

1번째로 밀크시슬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시작할까요^^.

 

1. 밀크 시슬이란?

밀크시슬 속(Silybum) 식물은 유럽의 중부와 남부, 지중해 및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며 2종이 있습니다. 중국에는 이 1종만 도입되어 현재 재배되고 있으며 약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밀크시슬은 유럽, 지중해, 북부 아프리카 및 중앙아시아에 분포합니다.

중국 북부와 북서부 지역에 도입되어 재배되고 있습니다.

 

이미 2000년 전에 고대 그리스에서 밀크시슬의 잎이 간 질환 치료제로 사용되었으며,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에 미국의 절충주의 의사들은 간, 신장 및 비장의 혼잡을 치료하기 위해 밀크시슬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밀크시슬은 모든 유형의 만성 간 질환, 특히 알코올성 음료의 규칙적인 음주로 인한 지방간을 치료하기 위해 독일에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이 종은 미국약전(28 개정판)과 영국 생약 전(1996)에 밀크시슬 열매(Cardui Mariae Fructus)의 공식적인 기원식물 내원종으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이 약재는 주로 아르헨티나, 중국, 루마니아 및 헝가리에서 생산된다고 합니다.

열매와 씨에는 플라보노 리그난이 함유되어 있으며 주요 구성 성분은 총칭하여 실리마린이라고 하며, 미국약전은 의약 물질의 품질관리를 위해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법으로 시험할 때 실리빈으로 계산된 실리마린의 함량이 2.0% 이상이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약리학적 연구에 따르면 실리마린은 간세포의 세포막을 보호하고 간 기능을 개선하며 다양한 간 독소로 인한 간 손상을 예방한다고 합니다.

 

민간요법에 따르면 밀크시슬 열매는 간장 보호 작용을 하고 한의학에서 밀크시슬 열매는 열을 제거하고, 습기를 없애주며, 간을 진정시키고, 쓸개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수비계[水飛薊] Cardui Mariae Fructus

2. 함유성분

열매와 씨에는 플라보노 리그 난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총추출물을 실리마린이라고 하며, silybin A(silybin b1), silybin B(silybin a1), isosilybin A(silybin b2), isosilybin B(silybin a2):가 함유되어 있고, 또한 실리마린에는 silydianin, silychristin(silychristin A, silychristin II), dehydrosilybin, 2,3-dehydrosilybin, isosilychristin, silychristin B, taxifolin, silybin Na dihemisuccinate, (-)-silandrin, (+)-silymonin, 5,7-dihydroxychromone이 함유되어 있다. 열매와 씨에는 또한 트리테르페노이드 성분으로 marianine, marianosides A, B betaine hydrochloride, 지방산 성분으로 올레산, 리올 레산, myristic acid, 팔 미트산, 스테아르산, arachidic acid, behenic acid가 함유되어 있다.

 

3. 약리작용

1. 간 보호 작용
실리마린은 phalloidin, α-amanitin, galactosamine, 질산 프라세오디뮴, thioacetamide, 사염화탄소, 알릴알코올,isoniazid, rifampicin에 의해 유발된 간 손상을 1차로 예방하거나 감소시켰습니다. [참고문헌. 실리마린은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간경변을 유의하게 변화시켰으며, 콜라겐 함유량을 감소시켜서, 알라닌 트랜스 아미나 아제(ALT), 알칼리 포스파타제(ALP), γ-글루타밀 트랜스페티타제(γ-GTP) 및 혈청 내 총빌리루빈의 증가를 억제했습니다.

균질화한 간에서 말론 디 알데히드 수준의 상승을 억제하고 간 글리코겐의 감소를 막습니다. 실리마린은 랫드 담관 폐색성 섬유증에서 히드록시 프롤린(HYP), 히알루론산(HA) 및 라미닌(LN) 함량을 감소시켰습니다. (procol-1) mRNA, metalloproteinase-1(TIMP-1) mRNA 발현 및 간 콜라겐 함량이 감소되어 간 섬유화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실리마린의 간 보호는 지질과산화 및 세포막 손상 예방, 손상된 간에서의 단백질 생합성 및 세포 재생 촉진, 막 수용체에 대한 경쟁적 저해를 통해 간세포 침입 방지에서 비롯된다 합니다.

2. 항산화 작용
실리마린은 in vitro에서 지질과산화를 방지하여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한 글 투타 티온 수준의 감소, 아스코르브산 함량의 증가, 마우스의 뇌에서의 과산화물 불균화효소(SOD) 활성을 증가시켰다고 합니다.

3. 항종 양 작용
in vitro에서 실리마린이 간암 HepG2와 Hep3B 세포증식을 유의적으로 억제하고 Hep3B에 대한 강력한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냄을 보여주었고 이소 실리빈 B가 가장 효과적인 성분인 인간 전립선암 LNCaP, DU145 및 PC3 세포의 증식을 억제했습니다. in vitro 연구에서는 실리마린이 벤조피렌에 의해 유도된 간 암종, 4-nitroquinoline 1-oxide에 의해 유도된 혀 암종, 아족시메탄에 의해 유도된 대장 암종, 자외선, 화학 발암 물질로 유발된 피부 기저 세포 암종, 편평 세포 암종 및 악성 흑색종을 억제하였습니다. 

4. 혈당강하 작용
지상부 물 추출물은 기저 혈장 인슐린 농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정상 및 스트렙토조토신 당뇨병 마우스의 혈당을 각각 감소시켰으며 실리마린은 스트렙토조토신 당뇨병 마우스에서 대동맥 당화와 산화를 억제하고, 신경조직 대사 장애를 교정하며, 혈류량이 개선되고, 신경 내막 국소빈혈이 감소하며, 만성 혈관 합병증과 당뇨병의 신경 병증에 치료 효과를 나타냈다고 합니다. 

5. 항고지혈증 효과
실리마린은 고콜레스테롤 식이 요법에 의해 유발된 고콜레스테롤 혈증의 발병을 억제하고 고밀도 지단백질(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며 간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켰습니다. 실리빈은 실리마린만큼 효과적이지 않았습니다.

6. 심혈 관계에 미치는 영향
실리마린은 독소루비신에 의한 심장근육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었습니다. 실리빈은 마우스의 심실 세동 문턱을 상승시켜서 심실 세동에 예방 효과가 있다고 하며 실리빈은 세포막을 통한 Ca2+ 유입을 억제하고 심근 세포 막 전위 안정성을 증가시킨다고 믿고 있습니다. 실리빈은 토끼의 풍선 혈관 성형술 후 신생 내막의 증식과 혈관 재건을 억제하여 경피적 관상 동맥 중재술 후 재협착을 예방했고 합니다.

7. 위장 보호
실리마린은 마우스의 허혈-재관류 손상 후 위 점막에 보호효과가 있었습니다. 이것은 신경 박근호 산화 대사의 간섭, 신경 충만 침윤 및 신경근 유발 세포독성의 감소와 관련이 있습니다.

8. 기타
실리마린은 시스플라틴에 의한 신장 독성에 대해 작용했습니다. 또한, 밀크시슬은 면역 자극 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냈다고 합니다. 

4. 용도

1. 간염, 간경변, 지방간
2. 소화 불량
3. 담석증, 담관염

위 3가지 용도로 사용된다고 합니다. 

5. 해설

실리마린과 같은 플라보노 리그난을 함유한 것 외에도, 밀크시슬의 열매에는 단백질, 아미노산, 지방, 다중 불포화 지방산, 비타민 및 미량 원소가 풍부한 밀크시슬 오일이 들어 있습니다. 기름에 함유된 리놀산 및 리놀레산은 항 고지질 혈증, 항 혈전성 및 항 죽상경화 효과를 갖는다. 영양분이 풍부하고 독성이 낮은 밀크시슬 오일은 식용 기름 또는 심혈관 건강관리 약으로 개발될 수 있다고 합니다. 

참고문헌: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3, 2019.06.25, 자오 중전, 샤오 페이건, 성락선, 신용욱, 성락선)

반응형